전체 글131 돌나물 꽃이 노랗게~ 노랗게~ 돌나물은 돈나물이라고도 부르며 한국이 원산지이다. 학명은 Sedum sarmentosum이며 영명은 Gold moss stonecrop이다. 돌나물의 '돌'은 돌 틈이나 바위, 척박한 곳에서 자라는 것에서 유래하며 '나물'이 붙은 것은 식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른 봄에 물김치를 담가 먹거나 어린 순을 나물로 혹은 샐러드로 먹을 수 있다. 해독성분이 있어서 종기가 나거나 데었을 때 꽃을 찧어 붙이기도 한다. 뽑아서 아무 데나 던져두어도 금세 뿌리를 내려 살아날 정도로 번식력이 강하다. 산과 들 어디에서나 잘 자라며 줄기가 땅에 붙어서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 지피식물이다. 재작년 봄 산골 길가에 싹이 난 것을 뽑아다가 정원 비탈에 심어 두었었다. 길가에서 자란 것은 식용으로 하기에는 왠지 오염이 되어 .. 2025. 6. 12. 수염 패랭이 꽃(Sweet William)의 성장 과정 석죽과>패랭이꽃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의 북부지방, 백두산 지역, 유럽과 중국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크기와 무늬, 색상이 다양하며 추위와 가뭄에 강한 야생화이다. '주먹석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여기에 이름과 관련된 한 일화가 있다. 옛날에 힘이 센 장사가 있었는데 그는 마을에 밤마다 사람을 괴롭히는 석령이 있다는 말을 듣고 산으로 올라갔다고 한다. 화살을 겨누어 쏘았는데 그 화살이 바위에 깊이 박혀 빠지지 않고 대신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는 꽃이 피었는데 그것을 석죽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주먹'이 붙은 이유는 꽃봉오리가 동그랗게 형성되는 모습이 마치 주먹을 쥔 모습과 유사하여 붙여진 것으로 추측한다. 꽃말은 '의협심'인 것도 힘이 센 장사의 행동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수염 패랭이라.. 2025. 6. 12. 휴케라(Heuchera)키우기 북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생 식물이다. 잎의 색상이 초록, 보라, 은색, 자주색, 노란색 등 다양하여 꽃보다는 잎의 관상가치가 우수한 식물이다. 그늘을 좋아하는 식물이지만 햇빛이 너무 약하면 꽃을 피우지 않는다. 꽃말은 '절실한 사랑', '섬세한 사랑'이다. 사계절 내내 잎의 색이 변하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변치 않는 절실한 사랑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 식물과의 인연은 정원을 만들던 초기인 2022년 가을에 어린 모종을 사다가 심은 것으로 시작되었는데 겨울이 일찍 찾아오는 산골의 기온 탓에 뿌리 활착이 되기 전에 그만 초록별로 보내고 말았었다. 월동을 하는 식물이긴 하지만 너무 어린 모종의 경우에는 어렵다는 것을 알게 해 준 식물이다. 작년 여름에 붉은색 휴케라 모종 두 개를 다시 사다가 심었는데 무.. 2025. 6. 11. 겹고광나무 스노우벨 장미목>범의 귀과>고광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영명은 Double snowbell이며 학명은 Halesia diptera var이다. 꽃은 6~7월에 총상꽃차례로 피는데 하얀 순백의 꽃이 매우 화려하고 우아하다. 원산지는 미국 동남부이며 고광나무의 개량종이다. 중국과 함경북도부터 백두대간에 분포하고 있으며 키는 2~4m까지 자란다. 가지는 2개로 갈라지는데 일 년생 가지는 갈색으로 털이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노지에서 월동하며 내건성, 내한성, 내병성이 강하다. 작년 5월 키가 약 30cm 정도 되는 작은 개화주를 구입하여 정원에 식재하였다. 나무는 키가 작을수록 가격이 착하고 땅에 적응하기도 쉽다. 구입 당시 순백의 겹꽃이 피어 있었는데 작은 키에 비해서 그 자태와 볼륨.. 2025. 6. 10. 이전 1 2 3 4 5 6 ··· 33 다음 반응형